목록TIL (46)
사적인 개발자
alias를 일일이 등록해도 되지만파일 하나에 모아서 명시해놓으면 서버 껐다켜지던말던 지속적으로 쓸 수 있음. alias .bashrc 파일에 등록하기~위치에서 그냥 ls 하면 안나오고,ls -a 하면 숨겨진 파일들 다 나옴 그 중 .bashrc 를 cat 해보면 기존 alias들이 나옴이 파일이 맞다 싶으면 vi .bashrc해서 원하는 위치에 alias 입력하고(내 경우엔 폴더 내 파일 용량 큰 순서대로 정렬이었음)alias sort = 'du -sh ./\* | sort -hr' 저장+종료하려면esc 누르고:wq 하면 끝! 저장만 하려면 :w 입니당 이후 연결을 한번끊고 재연결하면 alias 작동되는거 확인가능~~

일단 냅다 던져보는 오늘의 코드import requestsfrom bs4 import BeautifulSoupimport smtplibfrom email.mime.text import MIMETextimport scheduleimport timefrom pymongo import MongoClientimport pprint# 몽고DB 연결client = MongoClient('mongodb+srv://id:pwd.d7did.mongodb.net/?retryWrites=true&w=majority&appName=cluster')db = client.db# Dictionary setdoc = { 'doc_no' : '2975', 'keyword' : '페이백', 'site' : '사이트명'}..
1. 서비스의 특징 생각하기wrtie 多, read less (ex : 시계열 로그)one write, lot read (ex : 유저 프로필)everytime static info return (ex : 검색 결과)서비스의 특징에 따라서 캐싱 전략 역시 달라진다. 2. Cache 전략2-1) Read 전략[1] Cache-Aside (보조 캐시)지연로딩 방식cache는 app과만 통신한다.app이 DB조회, 캐시 갱신 직접 관리Flow : app은 요청을 받은 후 캐시와 우선 통신한다. 정상 데이터의 경우(cache hit) 그대로 응답한다.만약 cache data에 miss가 났을 경우(cache miss) DB와 통신하며, 통신된 DB데이터를 응답과 동시에 cache에 save한다. 활용 : rea..
egrep 은 grep의 업그레이드 기능이다.사실 egrep문의 and 조건은 그냥 grep 'searchWord1' | grep 'searchWord2' 요런식으로 해도 되지만그냥 egrep으로 한번에 쓰고 싶어서 찾아보았다 ; ㅋㅎ egrep의 or조건은 쏘 씸플함egrep의 or조건egrep " searchWord1 | searchWord2 | searchWord3" 요런식으로 따옴표 내에 파이프를 써주면되고,and 조건은 조금 더 복잡한데, 서치할 단어가 3개 이상이라면 앞뒤관계를 알고 있는게 편하다. egrep의 and 조건egrep "searchWord1.\*searchWord2.\*searchWord3" 이렇게 검색할단어 뒤에 .* 를 붙여 워드1 뒤에 워드 2가 연달아 존재하는걸 서치해달라..
만날 헷갈리는 웹서버와 와스이제는 제대로 정리할때가 되었다 # Web-serverurl 입력으로 페이지 요청HTTP 로 소통함index.htmlstatic source 전달로드밸런싱web-server는 보통 아키텍쳐 최상단에서 client와 HTTP로 소통하며 서버에 온 요청을 요리조리 처리한다.본인이 처리할 수 있는건 바로 처리하되(정적 소스) 본인이 처리하기 힘든건 WAS로 넘긴다.이때 WAS에 큰 부하가 되지 않을 수 있도록 로드밸런싱 기능도 갖추고 있는경우가 있는데이렇게 client와 바로 소통하는,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사용되는 로드밸런서는 L7 로드밸런서라고 한다. # WAS (Web Application Server)HTTP로 소통주로 DB와 같이 작동됨동적인 요청을 받아 처리web serv..

존재하지만 열리지 않는 파일, 왜 내게는 love is open door가 아닌지 정체를 알아보자. 리눅스는 각 파일마다 사용자계정에 부여된 권한에 따라서 읽을수도(read) 쓸수도(write) 실행(execute)할 수도 있다.각 파일마다의 권한은 아주 친절하게 ls -l 명령어(리스트의 다양한 정보를 함께 출력)로 살펴볼 수 있다. 그럼 저 모스부호같이 생긴 권한들에 대해 알아보자. 💌 파일 정보 해석* 오늘의 예시drwxr-xr-x. 2 root root 4096 Jan 24 2024 al 일단 해체부터 해보자. 1) d : 파일 타입 - 'd' : dir , '-' : 일반파일2) rwxr-xr-x. : 파일의 권한 정보3) 2 : 링크수4) root : 해당 파일 소유자5) root ..

나으 (지금은 사라진) AWS VPC 관리 페이지이다.뭐가 뭔지 정의할겸 구성요소를 정리해봅니다 1. 상단 VPC 세부정보VPC ID: VPC의 고유 식별자. VPC ID를 통해 해당 VPC를 다른 리소스와 구분함상태: VPC의 현재 상태. Available : VPC가 활성화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테넌시: 리소스의 테넌시 유형. "default" : 기본 공유 테넌시기본 VPC: "예"로 설정된 경우, 이는 AWS 계정에서 생성된 기본 VPC임을 의미DHCP 옵션 세트: 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 설정을 지정하는 세트IPv4 CIDR: VPC의 IPv4 주소 범위. 여기서는 172.31.0.0/16로 설정 - 이 VPC에서 사용할 수 있는 IPv4 주소 블..

이걸 트러블슈팅으로 넣어야할지...스스로 이슈를 만들고(ㅋㅋㅋ) 원인을 트랙킹 하면서 배운것들을 정리해본다. 💌 문제NCP를 사용하고 있는 서버에서 이벤트 알림이 날라왔다. 바로 이슈 해결알림이 같이 왔고, 사실 시스템팀에서 보시는 메일을 참조받아 보는거라참고로만 보면 되는 부분인데,, 왜인지 모르게 파보고싶었다. 💌 원인결론부터 말하자면 해당 시간에 내가 서버에 접속해 몇개의 로그파일을 병렬로 bzip2 처리를 한 것이 원인이었다.타 서버에서는 그렇게 처리했을때 cpu가 튄 적이 없었는데, NCP와 연동된 신설서버는구 서버에 비해 cpu 캐시 중 L3캐시가 3배 이상 작아 부하가 걸렸던 것. 💌 트랙킹🤔 호기심 1. avg_cpu_used_rto 란 어떤 지표인가?메일을 처음 받았을때 먼저 ..
# JSON?JavaScript Object Notation (JSON)의 약자 == 자바 스크립트 객체 표기법웹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된다.자바스크립트 어쩌구가 들어가기 때문에 JS에서 사용하는 객체 표기법에 따른 구조로 구성되어있다 # JSON 형태 예시{ "array": [ 1, 2, 3 ], "boolean": true, "color": "gold", "null": null, "number": 123, "string": "Hello World", "object": { "a": "b", "c": "d" }} # JSON row , column형태같은 테이블의 데이터를 행 중심, 또는 열 중심으로 표현한 것.아래 동일한 테이블을 row 형..

케이스 스터디 중,백단에서 try-catch문 중 Exception으로 퉁치는 것이 아닌몇가지 세부 exception들을 정상처리하는 로직이 있었다. catch (StaleObjectStateException ex) { // OPTIMISTIC LOCK => 정상처리 logMessage = """StaleObjectStateException""" println logMessage returnCode = 1} catch (Exception ex) { logMessage = """method.Exception""" println logMessage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