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TIL (46)
사적인 개발자
주로 HTML 코드에서 JS를 불러오는건 onclick=function() 식으로 호출을 많이 했었는데,a 태그에서도 js를 바로 불러올 수 있다.사실 그럴 일이 많이 없었지만, 필요시에는 유용하게 쓰이는것을 발견HTML a 태그에서 JS 함수 및 기능들을 불러오는 다양한 방법들을 알아보자1. 필요 코드 레어로 쓰기 어떻게 보면 가장 쉽고, (오늘 나를 구원해준) 간단하고 유용한 코드!javascript:라고 써주면 html 내의 href 코드에도 잘 녹아들어가서일반적인 a태그 내부에 href="https://www.test.com"과 같이 url 주소와 겸용해서 쓰기 좋다. 2. 함수로 호출하기... 클래식하다. 나의 경우 코드상 꼭 a태그를 써서 js를 호출하는건 다른 url과 동적으로 겸용해야하..
단골 로컬 개발포트인 8080을 누군가가 차치했다.하지만 암만 봐도 8080을 쓸만한 애가 없어서 CMD에 여쭤봄 1. 특정 포트 사용 PID 확인netstat -ano | findstr :8080// 출력 예시 : TCP 127.0.0.1:8080 0.0.0.0:0 LISTENING 1234// - 127.0.0.1:8080: 로컬에서 8080 포트를 사용 중임// - 1234: 프로세스 ID (PID)2. PID로 프로세스 얼굴을 확인한다tasklist | findstr ${PID}// 출력 예시 : java.exe 1234 Console 0 123,456 K// java.exe가 8080 포트를 사용 중인 프로그램임 3. 프로세스 kill 각이라면taskkill /PID ${PID} /F ..
엄청 간단하지만 묘하게 킹받게하는 String null 처리 완전정복 ✨ String str 을 선언할 때, 따로 null or "" 로 초기화하지 않고바로 parameter를 넣는 경우가 있다.그럴때 parameter 값에 따라 String 변수의 운명도 결정되는데... >>>case 1. 파라미터가 존재하고 값이 있는 경우: 해당 값을 반환 case 2. 파라미터가 존재하지만 값이 비어 있는 경우: 빈 문자열 ("")을 반환// 요청 URL이 다음과 같을 때:// http://example.com?userType=String userNo = request.getParameter(" userNo "); // userNo은 "" (빈 문자열)입니다. case 3. 파라미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: nu..
reCAPTCHA에서 사용되는 site key와 secret key의 역할을 설명하겠습니다:Site Key (클라이언트 키)브라우저(클라이언트)에서 reCAPTCHA 위젯을 렌더링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데 사용됩니다.프론트엔드 코드에 포함되어 있으며, 사용자가 reCAPTCHA를 제출하면 서버로 토큰을 보냅니다.import ReCAPTCHA from "react-google-recaptcha";를 사용할 때 이 site key를 위젯에 전달합니다.Secret Key (서버 키)서버에서 사용자 응답을 검증하는 데 사용됩니다.서버가 Google의 reCAPTCHA API로 토큰을 보내고, 토큰의 유효성을 확인합니다.이 키는 보안 목적으로 반드시 서버에만 저장하고, 클라이언트 코드에 노출되면 안 됩니다.요..
검색엔진이 나의 소중한 사이트를 그냥 잡아주는게 아니라,날 잡아주십셔 손을 휘적휘적 저어야지 잡아준다. 구글, 네이버 등등에 원활하게 검색되기 위해 또는 검색되지 않기 위해 해야 하는 작업들 1. / 하위에 robots.txt , sitemap.xml 파일을 생성한다robots.txt는 필수고 sitemap.xml은 하면 더 좋은 느낌쓰 robots.txt 예시sitemap: https://www.oursite.com/sitemap.xmlUser-agent: *allow: /disallow: /indexdisallow: /Indexdisallow: /contents/*disallow: /service/* robots.txt는 검색엔진 로봇들이 www의 광활한 바다를 돌아다닐때우리 사이트에 안착할 수 있는..

이걸 이슈라고 해야할지 TIL로 해야할지? 이슈를 풀면서 배웠으니 일단 TIL에 넣는다. Grails를 쓰는데, 서버가 돌아가는데에 있어서는 악명이 높은 듯 하지만JPA와 같은 CRUD 기능을 딸깍-으로 해주는 편리한 기능이 있다.scaffold 기능인데,(사담이지만 scaffold를 듣고 볼때마다 007 시리즈 OST였던 skyfall이 생각남,,, 먼가 웅장쓰)흐름은 매우 간단하다.1. 도메인을 만든다.1) 컬럼명을 차곡차곡 넣는다.특징 : FK를 사용할 때에는 연동할 도메인을 통째로 생성해 넣는다. ex) User user특징 : id는 별도 생성이 필요하지 않다. 2) static constraints = { ex) dateCreated nullable : true, maxsize:50, uni..